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종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패턴을 찾는 데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데이터가 갖고 있는 특성에 따라 적합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크게 거리 기반, 분포 기반, 밀도 기반, 계층적 클러스터링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알고리즘은 특정한 데이터셋 구조에 맞춰 최적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종류와 그 특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종류

K-평균(K-Means)

클러스터링

 

K-평균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거리 기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입니다. 데이터셋을 K개의 군집으로 나누고, 각 군집의 중심을 반복적으로 계산하여 데이터 포인트들이 해당 군집 중심과의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재배치합니다.

특징

  • 비교적 간단하고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 사용자로부터 K값을 미리 지정해야 하므로 K값 설정에 민감합니다.
  • 구형 클러스터에 적합하며, 비구형 클러스터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규모 데이터에 잘 적용됩니다.

계층적 클러스터링

계층적 클러스터링은 트리 구조(덴드로그램)를 사용해 데이터 포인트를 클러스터링 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군집을 작은 그룹에서 큰 그룹으로 병합하거나, 큰 그룹에서 작은 그룹으로 분할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특징

  • 군집 수(K)를 미리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덴드로그램을 통해 군집 계층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간 거리 계산에 따라 연산량이 많아질 수 있어 대규모 데이터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거리 계산법(최단거리, 최장거리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DBSCAN(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

DBSCAN은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으로, 데이터 포인트들이 밀집된 지역을 중심으로 군집을 형성합니다. 밀도가 낮은 영역은 노이즈로 처리됩니다.

특징

  • 클러스터의 형태가 복잡하고 비구형일 때도 효과적으로 동작합니다.
  • 군집의 수를 미리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노이즈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의 밀도와 관련된 두 개의 매개변수(최소 포인트 수와 반경)를 설정해야 하며, 이 값들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평균 이동(Mean Shift) 클러스터링

평균 이동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밀도 중심을 찾는 방식으로 군집을 형성합니다. 각 데이터 포인트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군집 중심을 결정합니다.

특징

  • 군집의 수를 미리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데이터 밀도가 높은 곳에 중심이 위치하므로, 비구형 클러스터에도 잘 적용됩니다.
  • 대규모 데이터셋에서 계산량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Gaussian Mixture Model (GMM)

GMM은 데이터가 여러 개의 가우시안 분포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고, 각 데이터 포인트가 어떤 분포에 속할 확률을 계산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K-평균과 유사하지만, 군집 내부의 데이터 분포를 더 유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징

  • 데이터를 여러 가우시안 분포로 나누는 데 적합합니다.
  • 클러스터의 모양이 타원형일 때도 효과적입니다.
  • 데이터 포인트가 여러 클러스터에 속할 확률을 계산하므로, 군집이 겹치는 경우에도 잘 동작합니다.

스펙트럴 클러스터링(Spectral Clustering)

스펙트럴 클러스터링은 데이터의 그래프 표현을 사용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주로 비선형 구조의 데이터를 클러스터링 하는 데 사용되며, 데이터의 인접 행렬을 기반으로 계산합니다.

특징

  • 데이터 포인트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해 클러스터링을 수행합니다.
  • 비선형 구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합합니다.
  • 그래프 이론에 기반하여 계산하므로, 계산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OPTICS(Ordering Points To Identify the Clustering Structure)

OPTICS는 DBSCAN의 확장된 형태로,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을 수행합니다. 데이터의 밀도에 따라 클러스터의 계층 구조를 결정하며, DBSCAN과 달리 노이즈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특징

  • 클러스터의 계층 구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밀도가 다양한 데이터셋에 적합합니다.
  • DBSCAN보다 더 복잡하고 계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비모수적 클러스터링(Non-parametric Clustering)

비모수적 클러스터링은 데이터의 구조에 맞춰 자동으로 군집 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입니다. 대표적으로 Dirichlet Process Mixture Model(DPMM)이 있으며,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파라미터 없이 클러스터링 합니다.

특징

  • 클러스터의 수를 미리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데이터 구조가 복잡하거나 군집 수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 계산 복잡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Affinity Propagation

Affinity Propagation은 데이터 포인트들 간의 유사성을 계산하여 군집을 형성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메시지 전달" 방식으로 클러스터의 중심이 될 포인트를 반복적으로 업데이트하면서 최적의 클러스터링 결과를 도출합니다.

특징

  • 군집 수를 미리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유사성 행렬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에 적용 가능합니다.
  • 계산 복잡도가 높아 대규모 데이터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Self-Organizing Map (SOM)

SOM은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기법으로, 고차원 데이터를 저 차원 공간에 매핑하는 과정을 통해 클러스터링을 수행합니다. 주로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징

  • 데이터 차원 축소와 클러스터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시각화가 가능하여 데이터 탐색에 유용합니다.
  • 대규모 데이터에서는 학습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Fuzzy C-Means

Fuzzy C-Means는 K-평균 클러스터링의 확장된 버전으로, 각 데이터 포인트가 여러 군집에 속할 확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각 데이터 포인트가 모든 군집에 대해 소속 확률을 갖고 있기 때문에, K-평균보다 더 유연한 클러스터링이 가능합니다.

특징

  • 데이터 포인트가 여러 클러스터에 속할 수 있습니다.
  • 군집 간의 경계가 불명확한 경우에도 적절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합니다.
  • K-평균에 비해 계산 복잡도가 높습니다.

결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구조, 분포, 밀집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데이터의 특성에 맞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군집 수를 미리 지정해야 하는 K-평균과 같은 알고리즘부터, 밀도 기반의 DBSCAN, 비모수적인 DPMM까지 각각의 알고리즘은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셋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한 후에 적절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이 성공적인 데이터 분석의 핵심입니다.